수성규산염 무기부아연 방부 페인트에는 아연가루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주로 강철 기재에 응용되기 때문에 이전에 논의된 규산염 도료가 칼슘, 마그네슘 이온이 다량 함유된 무기 자재에 응용되는 화학반응과는 다르다.
금속 아연은 산, 알칼리와 동시에 반응할 수 있는 2가 금속으로 화학적 성질이 활발하고 알칼리 금속 규산염과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단조분 도료를 생산할 수 없으며, 이는 아연의 용해 성질에서도 볼 수 있다.
아연의 용해성은 주로 그것이 있는 수용액의 pH와 온도에 달려 있다: 수용액이 중성일 때 아연은 용해되지 않는다;산성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줄어들면 아연은 수소이온과 치환반응을 일으켜 수소를 생성할수 있으며 아연의 용해성이 증대된다.동시에 아연도 알칼리와 반응할 수 있는데, pH가 11보다 크면 아연의 용해성은 pH가 커지면서 커진다.
수성규산염 무기부아연 방부 페인트가 강재 바닥재에 도장되면 물이 휘발함에 따라 규산염이 기초재에 퇴적되고 탈수중합이 분자량이 더 큰 예비중합물로 농축된다. 예비중합물은 아연가루 입자 표면의 아연 이온과 반응하여 불용성이 발생하는 폴리규산아연의 중합물 기질을 생성한다. 그 후 규산염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할 수 있다.폴리규산을 생성하는 것은 아연가루 표면의 아연이온과 한층 더 반응한다. 최종 반응은 완전히 몇 개월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초 반응은 대기와 접촉하는 표층에서 발생하며 점차 코팅층의 하층으로 고화된다. 마지막에는 강재 기체로 깊이 들어간다. 또한 강철 바닥재의 철이온 (Fe2+/3+) 과 함께 반응하여 폴리규산 아연철의 중합물을 형성한다.이 기간에 코팅층의 교련밀도가 증가되여 단단하고 내구성이 있으며 치밀한 주로 규산아연중합물로 구성된 3차원무기구조를 얻게 된다.
아연가루는 도료에서 녹방지와 경화제의 이중작용을 겸비하는데 첫째, 희생의 양극으로서 강철을 음극보호하고 녹방지작용을 한다.또 다른 역할은 규산염의 경화제로서 경화 반응의 진행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성 무기부아연 중 규산염의 활성 규산은 분사강 구조 표면의 철과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칠막은 화학 키를 통해 강 구조 표면에 부착되어 매우 좋은 부착력을 가지고 있다.부딪힌 후에도 칠막은 대면적의 들썩이거나 벗겨지지 않고 부딪힌 곳에 움푹 패이고 긁힌 흔적만 나타나며 아연의 음극보호작용으로 기재도 쉽게 녹슬지 않는다.
수성 무기부아연 도료 중의 기재는 주로 규산칼륨과 규산리튬인데, 그 중 가장 많이 응용되는 것은 역시 규산칼륨이다.무기 규산염 건축 도료와 유사하게 규산나트륨은 가격이 싸지만 건조 속도가 느리고 두껍게 바르면 내수성이 떨어져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규산칼륨은 고함량이 높고 건조가 빠르며 성막성이 좋아 고모수 제품을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종합성능이 좋고 가격이 적당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규산리튬은 실온경화속도가 빠르고 아연가루와 혼합한후 사용기간이 길며 내수성이 좋고 염분이 적다는 등 장점이 있다. 그 자체경화칠막은 구운 규산나트륨접착제와 류사하여 아주 높은 경도,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갖고있으며 수성부아연바탕칠가운데서 가장 좋은 부패방지성능을 갖고있지만 수용성이 비교적 낮아 고농도제품을 쉽게 얻지 못하고 가격이 비싸다.
상품의 일반 규산칼륨의 최고 계수는 일반적으로 3.9이며, 더 높은 계수의 규산칼륨은 점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사용하기 어렵고 안정성이 떨어진다.더 안정적이고 더 높은 모수를 얻으려는 규산칼륨은 일반적으로 낮은 모수의 규산칼륨에 일정량의 규산용접과 유기실리콘을 첨가하여 변성하는데 고모수규산칼륨의 안정화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