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소수 표면은 일반적으로 재료와 물의 접촉각이 150 ° 를 넘는 표면을 가리키며 물에 대해 매우 큰 배척력을 가지고 있으며 자체 청결, 결빙 방지, 부식 방지 등 방면에서 광활한 응용 전망을 가지고 있다.초소수 방직품은 우수한 방수, 오염 방지, 자체 청결, 내구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방호복, 신발, 텐트, 침낭 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현재 초소수 방직품을 제조하는 데는 주로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연잎 원리"를 시뮬레이션하여 표면에 미나의 거친 구조를 구축한다;둘째, 저표면에너지 물질을 이용하여 방수정리를 진행하여 직물의 임계표면장력을 낮추어 소수목적을 달성한다.저표면에너지화합물가운데서 불화탄소화합물은 아주 우수한 소수성을 갖고있지만 불화탄소화합물은 일정한 생물적축적성을 갖고있어 생태환경을 해치고 가격도 비싸다.Wenzel과 Cassie 이론에 따르면 마이크로 나노 구조를 가진 거친 표면은 표면적 접촉각의 증대를 실현하여 재료 표면의 소수성 향상에 유리하기 때문에 재료 표면에 저렴한 무기 나노 재료를 도입함으로써 직물 표면의 표면적 구조 크기를 마이크로 나노급으로 만들고 거친 것은 직물의 소수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나노SiO2는 현재 초소수 표면의 미세나노 거친 구조를 구축하는 데 많이 활용되는 무기재로, 나노SiO2를 적용해 직물을 소수 정리하는 것도 최근 몇 년간 연구 이슈다.
실리콘 용접으로 정리된 직물 표면에는 뚜렷한 입자가 돌출되어 있고, 나노 SiO2 구형 입자가 뚜렷하며, 나노 SiO2 입자가 면직물 표면에 부착되어 섬유 표면에 덮여 있어 면직물 표면의 거칠음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Cassie 모델에 따르면 미나 구조화 거친 표면의 구조 척도가 표면 액적의 척도보다 작을 때, 표관상의 액고 접촉면은 고체와 기체가 함께 구성되며, 고체의 면적이 작을수록 거친 표면의 표관 접촉각이 커지기 때문에 미나화 SiO2 입자의 직물 표면 분포로 인해 액적이 접촉할 수 있는 고체 면적이 미정리 직물 표면보다 작아 면직물 소수 효과를 높인다.SiO2 부하 폴리에스테르 직물 표면에도 많은 SiO2 입자가 존재하여 폴리에스테르 직물 표면의 거칠음을 향상시키고 실리콘 용접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이에 기공 형태를 형성하여 직물의 소수성 향상에 더욱 유리하다.
나노 SiO2를 직물에 정리하는 과정은 여러 가지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과정 요소의 양호한 통제는 저렴한 실리콘 용접과 간단하고 실행 가능한 공정을 응용하여 직물에 대해 초소수 정리를 하는 중요한 경로이다.정리 후 면직물의 물리적 성능이 비교적 좋다.면직물은 소수정리를 거친후 경위방향과 위방향의 단렬강도가 약간 상승하였는데 이는 규소용접이 직물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섬유에 보강작용을 하는 동시에 처리과정에서 직물이 경위방향에서 모두 수축되여 단위단면에서 인장작용을 받는 섬유의 수량이 증가되였기때문이다.통기성이 어느 정도 떨어진 것은 나노SiO2 입자가 섬유 표면뿐만 아니라 섬유 사이의 틈을 메워 직물의 통기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또한 소수정리 후 직물의 백도치가 약간 상승했는데, 이는 SiO2 고체가 흰색이기 때문이다.